죽은 니켈 수소 전지(Ni-MH)배터리 전해액 보충죽은 니켈 수소 전지(Ni-MH)배터리 전해액 보충
Posted at 2022. 8. 23. 12:37 | Posted in 기타/기타
br> |
[2022년 8월 24일]
자료를 잘찾보니 니켈 수소 전지의 전해액으로는 KOH 수용액이 들어갑니다. 가성가리라고 불리는 독극물이라서 취급을 주의해서 사용을 해야 됩니다 필히 장갑을 착용을 해야 됩니다. 구입한 koh를 증류수와 혼합을 하여 비중을 맞추어 준비를 해두고. 그리고 니켈 배터리 위 뚜껑을 일명 뚜다라고 하여 니퍼를 활용하여 뚜껑을 개방을 시키을 시켜주었습니다. 한 4개 정도 개방을 하기 전에 테스터기로 전압을 측정을 해보니 50mv~200mv 정도로 미약한 전압만 측정이 되며 또한 뚜껑 위에는 흰색 가루 즉 전지 안에 전해액이 흘러 나와 말라버리고 부식된 흔적과 이 전부다 확인을 할수 있습니다. 뚜따를 하고 안을 보니 완전히 말라 있는 내부를 발견이 됩니다. 스포이드로 전해액을 부어 넣으니 어떤 전지는 바로 전압이 올라가는 증상을 확인을 할수 있엇고 어떤 전지는 미약하게 전압이 올라가 있는 것을 확인을 합니다. 그래서 가각 5분정도 충전을 시켜본 결과 어떤거는 1.2v 어떤거는 0.6v등등 다 충전이 되는것을 확인을 하였습니다. 좀더 테스트를 해봐야지 확실히 죽은 니켈 수소 전지를 재 활용할수 있을지를 판단할수 있을듯합니다. 이번 실험으로 전해액의 보충으로 사용못하는 전지 배터리도 왠만하면 다 살릴수 있을듯합니다. 좀더 테스트 해보고 확실히 내용으로 올려 보겠습니다.
그리고 1개는 뚜따를 안하고 밑 바닥 부분을 드릴로 뚥어서 전해액을 집어 넣는 과정에서 드릴로 뚥으면서 +극성과 -극성이 붙어서 쇼트가 된듯합니다. 안에 내구 구조가 어떻게 되었는지 완전 분해해 본 사진도 올려봅니다.
[2022년 8월 23일]
예전 사용하던 전동 드릴에서 분리해둔 니켈 수소 배터리가 있습니다. 그동안 기술력이 모자라서 어떻게 활용을 할까 생각만 하고 차후에 기회가 되면 재생을 해보자 마음을 먹고 창고에 방치해두었습니다.. 제가 지붕에 태양전지판을 이용하여 자가발전을 하다보니 충전 배터리로는 납산 배터리를 사용을 합니다. 그런데 몇년을 사용하다보면 전해액이 점차 감소를 하고 또한 양극과 음극 전극봉에 흰색 물질이 생기는데 생기면 쇠솔로 제거를 해주어 잘 사용하다가 어느 순간이 되면 풀충전이 아니 10.8v라는 납밧데리의 고질적인 병이 발생이 되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터넷에 다방면으로 자료를 찾아보니 전해액안에 황산이 빠져서 전해질의 비중이 떨어지기도 하지만 그로 인한 특정셀이 열이 과다하가 발생이 되어 전극판이 손상이 된다는 내용도 알게 되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2차 전지들의 전해액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짬짬히 여러 자료를 보다 보니 니켈 수소 전지 및 리듐 배터리에 대한 다양한 내용을 접하게 됩니다. 꾸준히 자료를 찾다보니 죽은 니켈 수소 전지를 살리는 글들의 참조하여 전해액 보충을 시도를 해 볼려고 합니다.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연산으로 녹제거 환원 과정 (0) | 2022.07.30 |
---|---|
핸드폰 스마트폰 나무 거치대 만들기 (0) | 2022.06.22 |
지노캔들 왁스 유토 산타 눈사람 양초 (0) | 2022.05.21 |
canon(캐논) 400d dslr 카메라 error 99 18-55mm 번들렌즈 필름 케이블 자가 수리기 (2) | 2022.03.04 |
햇빛 온풍기 만들기 (0) | 2022.01.26 |
구연산으로 녹제거 환원 과정구연산으로 녹제거 환원 과정
Posted at 2022. 7. 30. 16:48 | Posted in 기타/기타
br> |
[2022년 8월 8일 최종 테스트 결과]
녹제거 하시고 하시는 물건의 녹번짐 상태나 부위 깊이 등에 따라서 구연산에 얼마나 담구어야 되나 시간이 나오게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7일정도까지는 안담구어도 되고 대략 3일정도면 충분하였습니다. 녹이 약하게 있는거는 1~2일정도 테스트 해보니 충분하게 환원 과정으로 제거가 되었습니다. 녹이 아주 심한 경우는 7일정도 기간을 잡으시면 될것입니다. 그리고 제가 테스트 해본 물을 수돗물 보다는 빗물로 사용을 해보니 더 녹제거 반응이 잘된거 같습니다. 구연산으로 담구어서 제가 해본 느낌으로는 확실히 효과가 있었습니다. 추천드립니다. 오히려 담구어 두고 하니 더 편합니다. 양수기 수리하면서 실험해본 최종 테스트 결과였습니다. 참조하세요
[2022년 7월 31일]
하루동안 구연산에 담궈둔 모터 축의 녹을 비교를 해보면 확연히 많이 제거가 된것이 확인이 되었습니다. 그렇다고 아직까지는 왁벽히 많이 제가가 되지 않아서 몇일더 담구어야 확실히 녹제거가 될것입니다. 그리고 나머지 양수기 녹쓴 부분도 물통에 담구어 같이 제거해 나갑니다. 녹의 부분 면적이 넓은 경우는 넉넉히 7일이상 담가두시면 될듯 예상을 해봅니다.
[2022년 7월 30일]
사용하던 양수기가 고장으로 창고에 들어 있던 서브용 양수기를 꺼내어 작동을 하니 이거 역시 모터 축이 완전이 고착이 되어 버렸습니다. 2개다 분해를 해보니 모터 내부의 녹이 상당히 많이 분포되어 있어 철솔로 최대한 제거하는 부분 까지는 다 갈아 내고 나머지는 요 구산연을 이용해서 녹제거 과정으로 즉 환원(녹이 구연산에 듸하여 검게 바뀌되되는 과정을) 소개해 보기 위해서 포스팅 해봅니다. 세숫대아에 물을 가득 붓고 구연상 숫가락으로 대략 10스푼정도 넣은듯합니다. 물을 끄리지 않고 녹슨 모터 축을 담구면 아래의 영상처럼 주변에 기포가 생성이 되어 환원되어 지는 과정입니다. 다른분들도 녹이 심한 부분 있으시면 담구고 구연산을 넣어서 녹제거 환원 과정을 활용해 보세요. 저는 원래는 이 구연산을 블루베리에 사용하기 위해서 구입한 용도인데 녹제거에도 성능이 활용할수 있습니다. 또한 악취제거 부분에도 활용할수 있으 집에 조금씩라도 비취해 두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은 니켈 수소 전지(Ni-MH)배터리 전해액 보충 (0) | 2022.08.23 |
---|---|
핸드폰 스마트폰 나무 거치대 만들기 (0) | 2022.06.22 |
지노캔들 왁스 유토 산타 눈사람 양초 (0) | 2022.05.21 |
canon(캐논) 400d dslr 카메라 error 99 18-55mm 번들렌즈 필름 케이블 자가 수리기 (2) | 2022.03.04 |
햇빛 온풍기 만들기 (0) | 2022.01.26 |
핸드폰 스마트폰 나무 거치대 만들기핸드폰 스마트폰 나무 거치대 만들기
Posted at 2022. 6. 22. 14:48 | Posted in 기타/기타
br> |
[완성품]
[2022년 6월 23일]
나무 거치대의 결합 부분을 자르고 나머지 커팅하는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 일자 칼날로 깔끌하게 자르려고 망치로 찍으니 나무가 절반으로 깨져버리네요 임시적으로 다른 톱 기계로 잘라서 커팅을 합니다. 그리고 표면을 그라인더로 연마 작업 시행 합니다. 가공이 안된 나무이다 보니 뽀쪽한 미세 가시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거치대 중간에 홈파진 부분은 핸드폰을 거치 했을대 충전기 단자가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 홈을 파둔 부분입니다.
후가공 완료후 최종 결합을 하고 받침대 부분에는 쿠션 역할을 하게 되믄 스펀지를 제단을 하여 접착을 하면 완성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저희 지노캔들 마크를 디자인 해서 나무에 인쇄 마킹을 했습니다. 그리고 핸드폰을 올려서 거치를 해보고 하단에 충전기 단자 짹을 끼워서 잘못된 부분이 없는지 육안 검사 딱 맞게 제작이 되었습니다. 어제 저녁부터 지금까지 사용해본 결과 편리합니다. 그래서 이 스마트폰 거치대를 서비스 품목으로 넣어서 얼마정도 금액을 구입하게 되면 제품 구입시 같이 드리는 옵션으로 넣을려고 합니다.
[2022년 6월 22일]
저 같은 경우는 구형 오래된 노트 시리즈 핸드폰을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오래된 모델이다보니 배터리 사용 시간이 짧아서 뒷면에 가지고 있던 태양광 보조 배터리 부분을 개조해서 스마트폰 뒷면의 유리커버를 제거를 하고 몰아일체 상태로 붙여서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매우큰 단점으로 무개가 제법 나가다 보니 누워서 스마트폰을 보게 되면 팔이 아파서 불편함이 많습니다. 핸드폰을 바꾸라는 분들이 분명 계시겠지만, 저희 생각은 고장나서 뿌서질때까지 사용한다 라는 개념이 있어서 이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해서 핸드폰 나무 거치대를 만들어 지는 과정을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나무는 역시 파레트 나무를 뜯어서 준비를 하고 대략 적인 제품 치수를 측정을 해서 종이에 메모를 하여 제작 만들기 과정에 들어갑니다.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은 니켈 수소 전지(Ni-MH)배터리 전해액 보충 (0) | 2022.08.23 |
---|---|
구연산으로 녹제거 환원 과정 (0) | 2022.07.30 |
지노캔들 왁스 유토 산타 눈사람 양초 (0) | 2022.05.21 |
canon(캐논) 400d dslr 카메라 error 99 18-55mm 번들렌즈 필름 케이블 자가 수리기 (2) | 2022.03.04 |
햇빛 온풍기 만들기 (0) | 2022.01.26 |
지노캔들 왁스 유토 산타 눈사람 양초지노캔들 왁스 유토 산타 눈사람 양초
Posted at 2022. 5. 21. 11:26 | Posted in 기타/기타
br> |
양초 장식때 들어가는 색상 왁스 유토를 공장에 놀러온 아이들이 보고 머를 만들어 보고 싶다고 해서 몇가지 색상의 왁스 유토를 주었더니 산타와 눈사람 작품이 탄생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초심지도 달라고 해서 주었더니 머리 위에 꽃더니 세상에 하나뿐인 양초로 재 탄생이 되네요.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은 니켈 수소 전지(Ni-MH)배터리 전해액 보충 (0) | 2022.08.23 |
---|---|
구연산으로 녹제거 환원 과정 (0) | 2022.07.30 |
핸드폰 스마트폰 나무 거치대 만들기 (0) | 2022.06.22 |
canon(캐논) 400d dslr 카메라 error 99 18-55mm 번들렌즈 필름 케이블 자가 수리기 (2) | 2022.03.04 |
햇빛 온풍기 만들기 (0) | 2022.01.26 |
canon(캐논) 400d dslr 카메라 error 99 18-55mm 번들렌즈 필름 케이블 자가 수리기canon(캐논) 400d dslr 카메라 error 99 18-55mm 번들렌즈 필름 케이블 자가 수리기
Posted at 2022. 3. 4. 17:49 | Posted in 기타/기타
br> |
[수리완료]
필름 케이블을 완벽하게 단락된 부분 완벽 접합 시킨다음 최종 테스트 입니다. 셔터스피드가 50이상 수십차례 찍어도 이제는 에러 99 메시지 안나오고 잘 작동이 됩니다. 캐논 400d dslr 본체안에 셔터박스라는 부분이 고장나지 않는 이상 부서질때까지 사용을 할수 있어서 너무 좋네요
6개월전에 제가 사용하는 canon 400d 카메라 액정에서 error 99라는 메세지가 사진 촬영을 할때 마다 나오게 됩니다. 다만 셔터스피드가 50이하인 경우에는 괸챃더군요. 그래서 이 문제점을 대해서 인터넷 서핑과 동영상을 찾아보니 에러 99 메세지에 대한 해결 방법을 찾는 내용을 보고 따라서 문제점을 하나씩 테스트 해봅니다. dslr 몸체 카메라가 문제가 있을 경우와 그리고 렌즈가 문제가 되는 2가지 해결 방법의 내용을 보고 테스트를 해봅니다. 제가 보유하고 잇는 캐논 렌즈가 번들렌즈와 쩜팔이라는 단렌즈가 있어서 렌즈를 교체를 해보고 촬영을 하니 error 99에 대한 문제가 발생을 하지 않아서 캐논 카메라 본체에는 문제여부를 배제를 시키고 문제가 발생되는 부분의 동영상을 보니 렌즈 안에 보면 필름케이블 부분이 줌 인 아웃을 반복과정에서 끊어지게 되어 서비스 센타로 보내면 그 부품을 교환을 하여서 수리를 하기때문에 모든 dslr 카메라에 사용이 되는 렌즈는 에러 99 메세지가 발생을 하면 그 소모품 필름 케이블을 교환을 하여 문제가 해결이 되는 내용입니다.
그래서 6개월점 쯤에 수리기 영상을 참조를 하여 끊어진 필름을 수리를 하고 잘 사용을 하던중 또 동일한 에러 메세지가 나오게 되면 이번에는 좀더 야무지게 작업을 하기 위해서 재 작업에 들어갑니다.
저 처럼 자가 수리를 하실려면 일단 준비물이 확대경,uv 접착제,핀셋,메스,그리고 아주 얅은 구리선,납땜기,페이스트,
여기서 확대경은 시중에 파는 만몇천원짜리 중국산 현미경을 저처럼 개조를 하셔도 되고, 좀더 좋은 방법으로 개선을 하셔도 좋습니다. 그리고 2번째로 중요한 필름케이블이 엄청 얅기때문에 납댐기 인두 부분도 엄청 뽀쪽해야 되서 갈아내야됩니다. 요 2가지만 가지고 계시면 다 하실수 있으실겁니다.
ps)다양한 렌즈를 사용을 못해봐서 각각의 특성을 잘 모르지만 저에 입장에서 지금까지 사용해보면서 느낀것이 번들렌즈만 있어도 별 불편한점 없이 어떤 조건에서도 사용할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은 니켈 수소 전지(Ni-MH)배터리 전해액 보충 (0) | 2022.08.23 |
---|---|
구연산으로 녹제거 환원 과정 (0) | 2022.07.30 |
핸드폰 스마트폰 나무 거치대 만들기 (0) | 2022.06.22 |
지노캔들 왁스 유토 산타 눈사람 양초 (0) | 2022.05.21 |
햇빛 온풍기 만들기 (0) | 2022.01.26 |
햇빛 온풍기 만들기햇빛 온풍기 만들기
Posted at 2022. 1. 26. 14:40 | Posted in 기타/기타
br> |
[2022년 2월 20일]
작업과정에서 나무에 우레탄 투명 수지로 한번더 코팅하는 과정의 사진이 빠졌습니다. 나무 이다보니 지붕에 장착을 하게 되면 습기에 취약한 점을 보강하기 위해서 앞전 초벌로 락카로 도색을 하니 나무에 흡수되어 충분한 도막을 형성을 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다 완성이 되면 마지막에 한번더 코팅을 할려고 계획을 잡았서 재차 코팅작업후 뚜껑의 완벽한 밀착을 위해서 가지고 있던 스펀지가 있었습니다. 이걸로 테두리 부분 위에 붙이고 폴리카보네이트를 올려너 볼트로 조임을 한다음 생각을 해보니 뻘짓을 한 결과였습니다. 그래서 다시 전부 뜯어내고 재장착후 내열실리콘으로 쏘아 마무리 작업으로 최종 햇빛 온풍기를 완성을 하였습니다.
이제는 지붕에 장착후 배관을 연결한다음 최종적으로 어느정도 성능이 나올지가 가장 굼긓합니다.
[2022년 2월 13일]
만들다보니 안에 연결되 자바라관이 짤고 외부의 관과 연결할수 있는 부분이 짧고 약해 보강 작업을 해주었습니다.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연결하고 남은 함석판을 말아서 연결 작업후 실리콘으로 한번더 바람 새지 않게 하기 위해서 쏘아주었습니다. 그리고 햇빛 온풍기 위의 폴리카보네이트를 붙일려고 붙여져 있는 스티커를 땔려고 하니 오래 붙어서 인지 안떨어 집니다. 톱으로 일일이 긁거서 때어내고 있는데 보통일이 아니네요. 폴리카보네이트 구입하실때 붙어 있는 비닐 스티커는 필이 때어내 주세요. 오래된거 사면 저처럼 엄청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참조하세요
[2022년 1월 29일]
추가로 준비해야할 재료로 온풍기의 커버로 사용해야 하기때문에 고열에도 견딜수 있는폴리카보네이트라는 투명 플라스틱판과 나무 프레임을 원형으로 타공을 할수 있는 원형 칼날을 셋트로 구입을 했습니다. 중국제라 가격이 1만원 내외로 저렴합니다. 그리고 햇빛 온풍기 안쪽의 마감 처리로 내열실리콘도 넉넉하게 2통정도 준비를 해두었습니다.
가장 핵심이 되는 프레임 작업에 착수를 합니다. 알루미늄 자바라를 다 풀어서 대략적인 길이와 폭에 맞추어 목재 길이를 절단을 하여 기본틀을 만들어줍니다. 가장 시간이 많이 소요가 되는 과정인듯합니다. 그리고 드릴에 원형톱을 장착을 하여 바람이 들어가고 나가는 배관구멍을 뚤어줍니다. 그리고 단열재를 딸라서 안에 공간에 딱 맞게 재단을 하여 나사로 고정 작업을 해준다음 알루미늄 배관통을 온풍기 안에 넣어서 배관이 약간 나오도록 해둔다음 실리콘으로 모서리 부분을 다 쏘아 줍니다. 그리고 알루미늄 자바라에 검은색으로 도색을 해야 되는데 저 같은 경우는 공장에 우레칸 검정색이 있어서 그걸로 색을 칠해버렸습니다. 원래는 인터넷 보시면 부광 흑색 고열 스프레이라고 있는가봅니다. 그거 구입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있는서 사용을 했지만, 차후에 도색면이 들뜨거나하면 다시 뜯어서 재도색 작업을 하면 되기때문에 pass입니다. 참조하시구요. 햇빛 온풍기 작업은 요까지 하고 만들어지는 과정 짬짬히 update하도록하겠습니다.
[2022년 1월 26일]
그동안 만든다고 생각만 하고 미루어 두었던 햇빛 온풍기를 만들기에 들어갑니다. 태양의 에너지의 빛 복사열을 열에너지로 변환을 시켜서 따뜻한 바람으로 나오게 하는 장치 입니다. 원리는 간단하여 다른분들이 만든것을 참조를 하여 제작을 합니다. 재료는 시중에서 다 구할수 있는 자재를 활용을 하였습니다. 햇빛 온풍기의 가장 핵심이 되는 재료인 알루미늄 자바라라는 일반 시중에서는 환풍 덕트 등의 소재로 활용이 되는것을 구입해서 만드는것이 지금 만들고보니 가장 편리한 방법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왜 그러냐하면 제가 앞전에 조금이라고 금전적인 부분은 줄이기 위해서 알루미늄 맥주캔이나 음료수 캔을 모아서 위에 구멍을 따고 밑에 구멍을 내어 실리콘으로 접착하여 만들어 보았는데, 재료 수급이 잘 안되어 만들다가만 것입니다. 만들면서 문제될 부분이 일반실리콘을 사용해서는 안되며, 열에 강한 검은색이나 보일러 연통에 바르는 빨강색으로 발라야 되는데 또 잘못 바르면 바람이 셀수도 있어 효율적 및 문제가 생길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성 시간등을 따지고 보면 알루미늄 자바라로 만드는게 시간 및 작업성 부분에서 좋습니다.
준비할 재료로는 플렉시블덕트 100파이*10m 짜리 1개를 구입을 하고 햇빛 온풍기의 프레임으로는 100파이보다 큰 나무를 저는 팔레이가 그정도 크기가 있어서 거기서 때어내어 프레임으로 활용을 하고 단열제는 양초 포장을 위해서 사다둔 쿠션 자제를 이용을 할려고 합니다. 작업에 돌입합니다.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은 니켈 수소 전지(Ni-MH)배터리 전해액 보충 (0) | 2022.08.23 |
---|---|
구연산으로 녹제거 환원 과정 (0) | 2022.07.30 |
핸드폰 스마트폰 나무 거치대 만들기 (0) | 2022.06.22 |
지노캔들 왁스 유토 산타 눈사람 양초 (0) | 2022.05.21 |
canon(캐논) 400d dslr 카메라 error 99 18-55mm 번들렌즈 필름 케이블 자가 수리기 (2) | 2022.03.04 |